마리스 쿠친스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스 쿠친스키스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으로, 2016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라트비아 총리를 역임했다. 그는 1961년 림바지 구에서 태어나 발미에라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소련군 복무 후 라트비아 국립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994년 발미에라 시 의회에 선출되었고,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시장을 지냈다. 2002년 세이마 의원이 되었으며,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 및 지역 개발부 장관을 역임했다. 2016년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국방비 지출 증가와 시리아 난민 문제에 대한 입장을 보였다. 2018년 총선 이후 세이마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2019년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총리 - 에비카 실리냐
에비카 실리냐는 2023년 9월부터 라트비아의 총리를 역임하고 있으며, 라트비아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복지부 장관을 거쳐 총리가 되었다. - 라트비아의 총리 - 카를리스 울마니스
카를리스 울마니스는 라트비아의 초대 총리를 역임하고 쿠데타로 권위주의 통치를 시작했으나 소련에 의해 해임되어 추방, 투옥되었으며, 독립의 상징과 독재자라는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라트비아의 정치인 - 빌리스 크리슈토판스
빌리스 크리슈토판스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으로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총리를 역임했으며, 유럽 연합 가입 협상과 경제 개혁을 추진했다. - 라트비아의 정치인 - 야코프 페테르스
야코프 페테르스는 라트비아 출신의 볼셰비키 혁명가로, 러시아 내전과 체카에서 활동하며 좌익 사회주의 혁명당 반란 진압, 적색 공포 캠페인 등에 관여하고 여러 지역의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대숙청 시기에 처형되었다가 사후 복권되었다. - 1961년 출생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1961년 출생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마리스 쿠친스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Māris Kučinskis |
출생일 | 1961년 11월 28일 |
출생지 | 키르비지,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정당 | 인민당 리예파야당 |
다른 정당 | 녹색농민연합 통합 목록 |
배우자 | 라이네 쿠친스카 |
자녀 | 2명 |
모교 | 라트비아 대학교 |
공직 | |
대통령 | 라이몬츠 베요니스 |
임기 시작 | 2016년 2월 11일 |
임기 종료 | 2019년 1월 23일 |
이전 | 라임도타 스트라우유마 |
이후 | 크리샤니스 카린슈 |
총리 | 아이가르스 칼비티스 |
임기 시작 | 2004년 12월 2일 |
임기 종료 | 2006년 11월 7일 |
이전 | 안드레이스 라드제비치스 |
이후 | 아이가르스 슈토켄베르크스 |
2. 초기 생애와 경력
마리스 쿠친스키스는 림바지 구에서 태어나 키르비지 마을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발미에라 제4 중학교에서 공부했다.[2][3] 1980년 졸업 후 경제학자로 일하다 소련군에 복무했고, 라트비아 국립 대학교를 졸업했다. 1987년 발미에라 인민 대표 위원회에서 일했고, 1991년 사기업 Apgāds Ltd를 설립하여 경영했다.[4] 2011년부터 정치 활동을 중단하고 라트비아 주요 도시 협회(LLPA)에서 활동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마리스 쿠친스키스는 1961년 11월 28일 림바지 구에서 태어나 16세까지 그곳에서 살았다.[2] 키르비지 마을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발미에라로 이주하여 발미에라 제4 중학교에서 공부했다.[3] 1980년 졸업 후, 발미에라 인민 대표 위원회 재무부에서 경제학자로 일했다.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소련군에서 복무한 후 라트비아 국립 대학교 관리 및 경제 정보 학부에 입학했다. 동시에 1984년부터 발미에라 소방 설비 공장의 수석 회계사로 일했다.1987년, 쿠친스키스는 발미에라 인민 대표 위원회 구역 주택 및 공동 부서의 수석 경제학자로 초청되었다. 1991년, 건설 자재 거래를 전문으로 하는 사기업 Apgāds Ltd를 설립하여 1994년까지 부사장,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사장으로 일했다.[4]
2. 2. 초기 경력
마리스 쿠친스키스는 1961년 11월 28일 림바지 구에서 태어나 16세까지 그곳에서 살았다.[2] 키르비지 마을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발미에라로 이주하여 발미에라 제4 중학교에서 공부했다.[3] 1980년 졸업 후, 발미에라 인민 대표 위원회 재무부에서 경제학자로 일했다.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소련군에서 복무한 후 라트비아 국립 대학교 관리 및 경제 정보 학부에 입학했다. 동시에 1984년부터 발미에라 소방 설비 공장의 수석 회계사로 일했다.1987년, 쿠친스키스는 발미에라 인민 대표 위원회 구역 주택 및 공동 부서의 수석 경제학자로 초청되었다. 1991년, 건설 자재 거래를 전문으로 하는 사기업 Apgāds Ltd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까지 부사장으로,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사장으로 그곳에서 일했다.[4]
2011년 11월부터 정치 활동을 중단한 동안, 쿠친스키스는 라트비아 주요 도시 협회(Latvijas Lielo Pilsētu asociācijā, LLPA) 부집행 이사의 고문으로 활동했다. 이 조직은 9개의 라트비아 공화국 소속 도시를 포함한다. 2013년 9월부터 2016년 2월까지 LLPA의 대표였다.
3. 정치 경력
쿠친스키스는 정치 경력을 통해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며 라트비아 정치에 기여했다.
1994년 발미에라 시 의회 의원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1996년과 1998년에 의장을 역임했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발미에라 구 의회 의장도 겸임했다. 1997년 인민당에 입당했다.
2002년 세이마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아이가르스 칼비티스 내각에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 및 지역 개발부 장관을 역임했다. 2006년 다시 세이마 의원으로 선출되어 인민당 의원단 의장을 맡았으나, 이후 비네타 무이즈니에체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 2010년 좋은 라트비아를 위해 정당 연합 소속으로 의원에 당선되었다.
2011년 조기 선거에서는 낙선했지만, 이베타 그리고울레의 유럽 의회 진출로 의원직을 승계받았다. 2014년 제12대 세이마 의원으로 선출되어 장기 개발 의회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2016년 라임도타 스트라우유마 총리 사임 후 라이몬드스 베요니스 대통령에 의해 총리로 지명되었고, 세이마의 승인을 받았다. 쿠친스키스 내각은 NATO 회원국으로서 국방비 지출 목표를 달성하고, 시리아 내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터키와의 협력을 지지했다.
2018년 총선에서 녹색 농민 연합은 의석을 잃었고, 쿠친스키스는 크리시야니스 카린시에게 총리직을 넘겨주었다.
3. 1. 발미에라 시장
쿠친스키스는 1994년 발미에라 시 의회에 처음 선출되었으며, 1996년에 의장이 되었다. 1998년에 재선되었고 2002년까지 의장직을 계속했다.[5]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발미에라 구 의회 의장이기도 했다. 그는 1997년에 인민당에 입당했다.3. 2. 세이마 의원 및 환경 및 지역 개발부 장관
쿠친스키스는 2002년 인민당 소속으로 처음 세이마 의원이 되었다. 당시 정치적 수장이었던 안드리스 슈켈레는 정계에서 은퇴를 발표했지만, "평범한 구성원"으로 당에 남아 상당한 비선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쿠친스키스는 아이가르스 칼비티스 내각에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 및 지역 개발부 장관을 역임했다.2006년 10월, 쿠친스키스는 다시 세이마 의원으로 선출되어 의회 내 인민당 의원단 의장이 되었다. 이후 이 직책은 비네타 무이즈니에체에게 넘어갔다. 2009년 10월, 인민당이 심각한 위기에 처하자 슈켈레가 당 의장으로 정계에 복귀했고, 쿠친스키스는 이사회 구성원으로 활동했다. 2010년 무이즈니에체가 헌법재판소 판사로 임명되면서 쿠친스키스는 다시 의원단을 이끌게 되었다.
2010년 10월, 쿠친스키스는 인민당을 포함한 정당 연합 좋은 라트비아를 위해 소속으로 의원에 당선되었다.
2011년 조기 선거에서 쿠친스키스는 녹색농민연합 연합 소속으로 출마했으나 의회 진출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같은 당 의원인 이베타 그리고울레가 유럽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쿠친스키스는 제11대 세이마에서 그녀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2014년 10월, 그는 제12대 세이마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장기 개발 의회 위원회 의장을 맡았다.
3. 3. 라트비아 총리

라이몬드스 베요니스 라트비아 대통령은 2016년 1월 13일, 전임 총리 라임도타 스트라우유마가 사임하자 마리스 쿠친스키스를 라트비아 총리로 지명했다.[6] 세이마는 2월 11일 쿠친스키스 내각을 승인했다. 쿠친스키스는 2009년 이후 통합당이나 그 전신 정당 소속이 아닌 첫 총리였고, 2004년 이후 녹색농민연합 출신 첫 총리였다.[7]
3. 3. 1. 주요 정책
2016년 1월 13일, 쿠친스키스는 전년 12월 사임한 라임도타 스트라우유마를 대신하여 라이몬드스 베요니스 라트비아 대통령에 의해 라트비아 총리로 지명되었고,[6] 그의 내각은 2월 11일 세이마에서 승인되었다. 그는 2009년 이후 통합당 또는 그 전신 정당의 구성원이 아닌 최초의 총리였으며, 2004년 이후 녹색농민연합 출신으로는 처음이었다.[7]쿠친스키스 재임 기간 동안 라트비아는 방위비 지출을 늘려 NATO 회원국으로서 GDP의 2%를 국방에 지출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했다. 2017년 7월, 그는 NATO가 지출 요건을 GDP의 4%로 인상하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제안을 거부했다.[8]
2016년 3월, 쿠친스키스는 터키가 시리아 내전 난민을 막는 대가로 30억유로를 요구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지지하며, 이 지불이 라트비아로의 "통제되지 않은 이민자 유입"보다 더 유리하다고 주장했다.[9]
3. 4. 2018년 총선
2018년 2월 12일, 쿠친스키스는 2018년 10월 선거에 출마할 것이며, 자신의 정당이 선거에서 충분히 성공할 경우 총리직을 다시 맡을 의향이 있다고 확인했다.[10] 2018년 10월 6일, 녹색 농민 연합은 세이마에서 10석을 잃고 의회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세력이 되었다.[11] 선거 4일 후, 신보수당 대표 야니스 보르단스는 녹색 농민 연합과 연립 정부 구성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12] 보르단스는 정부 구성에 실패했지만,[13] 신보수당은 결국 국가는 누구의 것인가?, 개발/찬성!, 국민 연합, 신 연합과 연정을 구성했으며, 녹색 농민 연합은 조화와 함께 야당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쿠친스키스는 2019년 1월 23일, 신 연합의 후보인 크리시야니스 카린시에게 총리직을 넘겨주었다.[14]4. 총리 퇴임 이후
쿠친스키스는 총리직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10월 선거에서 다시 세이마에 당선되었으며, 신보수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1월 21일 국가 안보 위원회의 수장이 되었다.[15] 2019년 4월 11일, 그는 소속 정당과 함께 카린슈에 대한 불신임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지만 33 대 58로 부결되었다.[16]
참조
[1]
웹사이트
Biogrāfija
https://mariskucinsk[...]
2016-10-11
[2]
웹사이트
"Bez sievas atbalsta būtu daudz grūtāk" – premjers Kučinskis atklāti par dzīvi ārpus politikas
https://jauns.lv/rak[...]
2016-09-08
[3]
웹사이트
Ministru prezidents Māris Kučinskis piedalīsies Valmieras Pārgaujas ģimnāzijas salidojumā
https://www.mk.gov.l[...]
2016-09-02
[4]
웹사이트
M. Kučinska dzīves un darba gaitu apraksts
http://titania.saeim[...]
2016-02-11
[5]
웹사이트
Kurš būs labākais Latvijas premjers?
https://www.db.lv/zi[...]
2018-09-25
[6]
뉴스
President nominates Māris Kučinskis as Prime Minister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6-01-13
[7]
웹사이트
Kucinskis takes over as Prime Minister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6-02-11
[8]
웹사이트
No plans for Latvia to double defense spending at Trump's behest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8-07-17
[9]
웹사이트
PM: Better pay Turkey than risk uncontrolled refugee flow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6-03-10
[10]
웹사이트
PM Kučinskis: I'm willing to carry on after elections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8-02-12
[11]
웹사이트
Latvian election results show shape of new Saeima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8-10-06
[12]
웹사이트
Conservatives rule out government with Greens and Farmers Union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8-10-10
[13]
웹사이트
Vējonis does not name new PM candidate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8-11-20
[14]
웹사이트
Latvia gets a new government led by Krišjānis Kariņš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9-01-23
[15]
웹사이트
Kučinskis vadīs Saeimas Nacionālās drošības komisiju; Jurašs - Aizsardzības
https://www.lsm.lv/r[...]
[16]
웹사이트
PM eases past Saeima confidence vote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9-04-11
[17]
웹사이트
Biogrāfija
https://mariskucin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